데이터 교환 방식 종류
- 회선 교환 방식
- SDS (Space Division Switching) : 공간 분할 교한 방식
- TDS (Time Division Switching) : 시분할 교환 방식
- 축적 교환 방식
- 메시지 교환 방식
- 패킷 교환 방식
- 가상 회선 방식
- 데이터그램 방식
회선 교환 방식
통신하려는 두 지점을(송신기/수신기) 교환기를 이용하여 물지적으로 연결해 통신하는 방식이다. 기존의 음성 전화망이 대표적이다.
회선 교환 방식 특징
- 데이터 전송 전에 물리적인 통신 회선을 통한 연결이 필요하다.
- 연결된 회선은 그 통신을 위한 전용 회선으로 사용된다.
- 한번 연결되면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더라도 연결이 끊어지기 전까지는 회선이 유지된다. (=통신 회선이 낭비된다.)
- 회선 접속에는 긴 시간이 필요하지만, 한번 접속 된 후에는 전송지연이 없어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다. (=전송속도가 일정)
- 회선 접속된 후 수신측이 통신 준비가 완료되어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.
-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전체 시간이 축적 교환 방식보다 길다.
-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제어, 흐름제어는 사용자에 의해 수행된다.
회선 교환 방식의 종류
SDS (Space Division Switching)
- 공간 분할 교환 방식으로, 기계식 접점과 전자 교환기의 전자식 접점 등을 이요하여 교화능ㄹ 수행하는 방식이다.
- 음성 전화용 교환기가 속한다.
TDS (Time Division Switching)
- 시분할 교환 방식으로, 전자 부품이 갖는 고속성과 디지털 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다수의 디지털 신호를 시분할적으로 동작시켜 다중화하는 방식이다.
축적 교환 방식
송신 측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송신 측 교환기에 저장시켰다가 적절한 통신 경로를 유동적으로 선택하여 수신 측에게 전송하는 방식이다.
축적 교환 방식 특징
- 하나의 통신회선을 여러 메시지가 공유할 수 있다.
- 메시지를 저장했다가 전송하므로 기억장치가 필요하다.
- 전송 속도와 코드가 서로 다른 장치 간에도 통신이 가능하다.
- 초기 설계 비용 및 통신 비용이 저렴하다.
- 전송 속도나 코드의 변환 및 전송 오류 정정이 가능하다.
축적 교환 방식의 종류
메시지 교환 방식(Message Switching)
- 교환기가 송신 측의 메시지를 받아서 저장한 후 전송 순서가 되면 수신 측으로 전송한다.
- 각 메시지마다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, 수신 측 주소를 붙여서 전송한다.
- 전송 지연 시간이 매우 길다. 응답시간이 느려 대화형 데이터 전송에 부적절하다. (실시간 전송 못함)
- 전송량이 폭주해도, 저장 기능을 이용하여 교환기의 혼란 상태를 피할 수 있다.
- 같은 내용의 메시지를 여러 곳에 전송할 수 있다.
패킷 교환 방식(Packet Switching)
패킷 교환 방식은 메시지를 일정한 길이의 패킷으로 잘라서 전송하는 방식이다.
- 패킷 교환기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전송되며 전송이 끝난 후 폐기된다.
- 패킷 교환망은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된다.
- 패킷형 터미널을 위한 DTE와 DCE사이의 접속 규정은 X.25이다.
- 패킷망 상호간의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은 X.75이다.
- 하나의 회선을 여러 사용가자 공유할 수 있다.
- 수신 측에서 분할 된 패킷을 재조립해야한다.
- 응답 시간이 빠르므로 대화형 응용이 가능하다(실시간 전송 가능)
- 전송 시 교환기, 회선 등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정상적인 경로를 선택해서 우회할 수 있다.
- 패킷 교환 방식의 종류에는 가상 회산 방식과 데이터그램 방식이 있다.
- 가상 회선 방식 : DTE, DCE간의 논리적인 가상 통신 회선을 미리 설정하여 현결을 확립한 후 설정된 결로를 따라 패킷을 순차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.
- 데이터그램 방식 : 연결 경로를 설정하지 않고 인접한 노드들의 트래픽 상황을 감안하여 각각의 패킷들을 순서에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운반하는 방식이다.
패킷 교환망(PSDN)의 기능
PSDN (Packet Switched Data Network)
패킷 다중화 | 물리적으로 한 개의 통신 회선을 사용하면서도 패킷마다 가상 회선 번호를 붙여 동시에 다수의 상대 터미널과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능 |
경로 제거(Routing) |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이용 가능한 전송로를 찾아본 후에 가장 효율적인 전송로를 선택하는 기능 |
논리 채널 | 송수신 측 당말기 사이에서 가상 회선을 설정하는 기능 |
순서 제어 | 패킷을 여러 경로를 통해서 전송할 때 패킷의 순서가 송신 측에서 보낸 순서와 다르게 수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 |
트래픽 제어(Traffic Control) | 망의 호보, 성능유지, 망 지원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 전송되는 패킷의 흐름 또는 그 양을 조절하는 기능, 교착상태의 방지, 흐름 제어 등으 룻행 |
오류 제어 | 오류를 검출하고 정정하는 기능 |
패킷 교한망의 구성
NPT (비패킷 단말기) | 전송할 정보 메시지를 패킷 단위로 분할하는 기능이 없는 단말기 |
PT (패킷형 단말기) | 패킷 분할 및 결합 기능을 갖추고 있는 단말기 |
PSE (패킷 교환기) | 패킷의 축적 및 경로 설정 기능을 갖추고 있는 단말기 |
PMX (패킷 다중화 장치) | 비 패킷 단말기(NPT)에서 전송하는 정보 메시지를 패킷으로 분할하고, NPT에서 수신할 정보가 패킷 단위로 들어오는 것을 정보 메시지로 조립하여 전달하는 정치이다. |
라우팅(Routing, 경로제어)
라우팅은 송수신 측간의 전송 경로 중에서 최적의 패킷 교환 경로를 결정하는 기능이다.
라우팅은 경로 제어표(Routing Table)을 참조하며 이루어지며, 라우터에 의해 수행된다.
라우팅 요소
- 성인 기준
- 경로의 결정 시간과 장소
- 정보 발생지
- 경로 정보의 갱신 시간
라우팅 프로토콜
RIP (Routing Information Protocal) |
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. 소규모이 동종 네트워크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다. |
IGRP (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al) |
RIP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, 네트워크 상태를 고려하며 라우팅한다. 중규모의 네트워크내에서 효율적인 방법이다. |
OSPF (Open Shortest Path First Protocal) |
라우팅 정보에 변화가 생길 경우 변화된 정보만 네트워크 내의 모든 라우터에게 알리는 기능을 한다. 대규모의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한다. |
EPG (Exterior Gateway Protocal) |
자율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게이트웨이 간의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. 외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이다. |
BGP (Border Gateway Protocal) |
자율시스템 간의 라우팅 프로토콜로 EGP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 |
라우팅 알고리즘
데이터가 목적지까지 도착하기 위한 최적의 경로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.
- 거리 벡터 알고리즘 (Distance Vector Algorithm) : 인접해 있는 라우터 간의 거리와 방향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경로를 찾는다. RIP와 IGRP가 해당된다.
- 링크 상태 알고리즘 (Link State Algorithm) :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모든 경로를 파악하여 미리 대체 경로를 마련해 두는 알고리즘으로, 거리 벡터 알고리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. OSPF가 해당된다.
'공부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운영체제] OS (Operating System) (0) | 2021.04.18 |
---|---|
[네트워크] OSI 7 - 전송계층 프로토콜 (0) | 2021.04.17 |
디지털 저작권 관리 (DRM)란? (0) | 2021.04.13 |
릴리즈 노트 (Release Note)란? (0) | 2021.04.13 |
애플리케이션 테스트 (0) | 2021.04.11 |